본문 바로가기
성경구절과 문학 읽기

정지용 시인 “향수” 함께 나누기

by 청아인숙 2025. 4. 3.
반응형

 

 

정지용 시인 향수 함께 나누기

향수

 

넓은 벌 동쪽 끝으로

옛이야기 지즐대는 실개천이 회돌아 나가고

얼룩백이 황소가

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질화로에 재가 식어지면

뷔인 밭에 밤바람 소리 말을 달리고

엷은 졸음에 겨운 늙으신 아버지가

짚베개를 돋아 고이시는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흙에서 자란 내 마음

파아란 하늘빛이 그립어

함부로 쏜 화살을 찾으려

풀섶 이슬에 함추름 휘적시던 곳,

 

그 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전설 바다에 춤추는 밤물결 같은

검은 귀밑머리 날리는 어린 누이와

아무렇지도 않고 예쁠 것도 없는

사철 발벗은 아내가

따가운 햇살을 등에 지고 이삭 줍던 곳,

 

그 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하늘에는 석근 별

알 수도 없는 모래성으로 발을 옮기고,

서리 까마귀 우지 짖고 지나가는 초라한 지붕,

흐릿한 불빛에 돌아앉어 도란도란 거리는 곳,

 

그 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1. "향수"에 대한 소개

정지용 시인의 향수는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애틋함을 표현한 시입니다.

이 시는 고향의 풍경과 그곳에서의 기억을 소중하게 여기는 마음을 담고 있으며, 특히 고향을 떠나 다른 곳에 살게 된 사람들에게 강한 공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정지용은 고향의 모습을 세심하게 그려내면서, 그곳에서의 따뜻한 정서와 아름다움, 그리고 그리움을 고백합니다.

이 시는 고향을 떠난 이들이 자주 느끼는 감정인, 과거의 기억에 대한 향수를 되새기게 합니다.

 

향수는 고향의 풍경을 되새기며 고향에 대한 깊은 사랑과 그리움을 표현한 시입니다.

시인은 고향의 구체적인 장소들과 그곳에서 겪었던 경험들을 세밀하게 묘사하며, 그곳을 떠난 후에도 마음속에 여전히 남아 있는 고향에 대한 향수를 노래합니다.

시의 전반적인 분위기는 고향에 대한 애착과 그리움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또한, 고향에 대한 사랑이 단순한 감정적 그리움을 넘어서, 그곳에서의 삶과 사람들이 시인의 마음속에서 중요한 의미를 차지함을 보여줍니다.

2. 세대별로 느껴지는 향수

어린 세대

어린 세대에게는 이 시가 약간은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특히 고향을 떠나본 적이 없거나,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 사회에서 자주 이주를 경험한 이들에게는 시의 고향에 대한 그리움이 다소 동떨어진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고향에 대한 기억이 중요한 가치로 여겨지는 문화적 배경 속에서는, 일부 어린 세대도 부모님이나 조부모의 이야기 속에서 고향에 대한 감정을 일부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중년 세대

중년 세대에게 이 시는 더욱 깊은 감동을 줄 수 있습니다.

이들은 어느 정도 고향을 떠나 삶을 살아온 경험이 있기 때문에, 고향의 풍경이나 가족, 친구들과의 추억을 떠올리며 시를 읽을 수 있습니다.

특히 "그 곳이 참하 꿈엔들 잊힐 리야"라는 구절은 그리움의 감정을 잘 표현하여, 읽는 이로 하여금 어린 시절의 추억이나 떠나온 고향을 다시 생각하게 만듭니다.

노년 세대

노년 세대에게 이 시는 더욱 강력한 감동을 선사할 수 있습니다.

이들은 대부분 고향을 떠나지 않거나, 떠났더라도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 고향에 대한 그리움이 더 깊어졌을 것입니다.

시 속에서 묘사된 고향의 정경과 그곳에서의 삶의 모습은 노년 세대가 경험한 것들과 맞닿아 있어, 더욱 친숙하고 의미 깊게 다가올 것입니다.

이 시는 그들에게 과거의 시간을 회상하게 하고, 그리움과 회상의 감정을 자극합니다.

3. 주요 구절의 의미

"그곳이."

이 구절은 시인이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절대 잊을 수 없다는 결심을 표현하는 부분입니다.

"그 곳"은 시인이 자주 언급하는 고향을 지칭하며, "꿈엔들 잊힐 리야"는 그리움이 너무 깊어 꿈속에서도 잊을 수 없다는 의미로, 고향이 자신의 존재와 연결되어 있다는 감정을 강조합니다.

"흙에서 자란 내 마음"

이 구절은 고향에서 자란 시인의 정체성에 대한 언급입니다.

"흙에서 자란"은 시인의 성장 배경을 자연과 인간의 삶이 조화롭게 연결된 곳으로 묘사하면서, 고향에서 받은 영향을 무의식적으로 자신의 일부로 여긴다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전설 바다에 춤추는 밤물결 같은 검은 귀밑머리 날리는 어린 누이와"

이 구절은 고향에서 함께 자라난 가족과의 추억을 떠올리며, 그리움의 감정을 더욱 강화합니다.

"전설 바다"는 신화적이고, 환상적인 느낌을 주어 고향에서의 삶이 단순한 일상 이상으로 기억에 남는 특별한 장소임을 강조합니다.

4. 결론적 소감

정지용의 향수는 고향을 떠난 사람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감정을 잘 표현한 작품입니다.

시인은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애정을 감각적으로 묘사하여, 독자들에게 깊은 감동을 줍니다.

 

이 시를 통해 우리는 잃어버린 것들에 대한 그리움과, 그리움이란 결국 시간과 공간을 넘어서는 힘을 가지고 있음을 느낄 수 있습니다.

향수는 단순한 과거의 기억에 대한 회상에 그치지 않고, 우리가 지금까지 살아온 삶의 중요한 기반이 무엇이었는지를 되돌아보게 합니다.

 

정지용 시인의 향수는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애정을 담은 시로, 고향을 떠난 사람들에게 강한 공감을 불러일으킵니다.

시는 고향의 풍경과 기억을 섬세하게 묘사하며, 그곳에서의 삶과 사람들에 대한 애착을 표현합니다.

향수는 고향을 떠난 모든 이들에게 시간과 공간을 넘어서는 그리움의 힘을 느끼게 해 주며,, 각 세대가 경험하는 고향에 대한 감정의 변화를 잘 반영합니다.

 

728x90
반응형